행안부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 발표
70대 이상, 20대 인구 추월…출생률은 갈수록 줄어

우리나라 인구 구조가 고령자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내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해 본격적으로 보험사들의 요양사업 추진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요양과 보험의 연관성 및 당위성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 주>

인(人)·지(紙) 산업으로 불리는 보험업에서 ‘人’이 사라지고 있다.

저출산 문제로 미래 가망고객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인데, 이에 반면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신사업으로 요양이 떠오르고 있다.

◇ 고령자 비중 갈수록 증가

행정안전부가 10일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402명으로, 619만7,486명의 20대보다 많았다. 인구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70대 인구가 많아졌다는 것도 특이점이지만, 전체 인구 비중 변화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2022년과 2023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 미만 6.87%→6.49% △10대 9.14%→9.06% △20대 12.48%→12.07% △30대 12.86%→12.81% △40대 15.69%→15.44%로 청년층(15~35세)과 40대에서 비중이 감소했다.

반면 △50대 16.74%→16.94% △60대 14.39%→14.87% △70대 이상 11.82%→12.31%로 변했다.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층의 비중만 증가한 셈이다.

또 한편으로는 저출산 때문에 10대 미만 인구가 점점 줄고 있다는 문제도 안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추계에 의하면 2022년 국내 합계출산율은 0.78명이다. 올해 합계출산율 전망치는 0.68명으로, 0.7명선도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 문제는 보험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가져올 것으로 관측된다.

일반적으로 보험산업은 신계약을 발생시켜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로 자산을 운용한다. 이를 통해 발생한 수익으로 보험사의 규모를 키우고, 보험계약자에게 약속한 보험금을 지급한다.

하지만 신생아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은 산업의 근간이 되는 신계약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이 같은 상황에 보험사들은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보험에 집중해왔다.

부모를 계약자로 하고, 자녀를 피보험자로 가입시키면서 양질의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확보하는 동시에 향후 추가 계약을 유치할 수 있어서다.

이는 결국 과도한 사업비 지출을 통한 과열 경쟁으로 이어지는 사례로 이어지기도 했다.

◇ 요양사업, 신사업으로 낙점

보험사들은 점점 높아지는 고령층 인구 비율에 집중했다.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게 간편보험, 건강보험 등이다.

보험금 청구 이력 가능성이 높은 고령층이 보험 가입에 대한 니즈가 높다는 점을 활용, 보험금 지급 관련 리스크가 양호한 수준에 해당할 것으로 전망되는 특정 요건만 충족하면 건강보험을 가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품 판매만으로는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없었다.

보험사들은 보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헬스케어를 블루오션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이마저도 의료계의 반대로 활성화되지 못하면서 요양사업에서 시장성을 봤고,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은 출생부터 사망까지 전반적인 인간의 생애를 보장하고 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소비자의 건강에도 간접적 관여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의료계 반대로 그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출산과 초고령 사회 진입으로 보험사들의 고민도 큰데, 그중 요양사업이 초고령사회에 가장 적합한 신사업으로 꼽히는 만큼 보험업계의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人)·지(紙) 산업으로 불리는 보험업에서 ‘人’이 사라지고 있다. [사진 출처=픽사베이]
인(人)·지(紙) 산업으로 불리는 보험업에서 ‘人’이 사라지고 있다. [사진 출처=픽사베이]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