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상태는 실효성 없어…사업비 부담만 가중
“박근혜 정부서 시행, 새 정부가 철회해줘야”

보험업계가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반복되는 ‘보험 복합점포’에 대해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 보험산업의 발전을 위해 시행한 제도 중 하나지만, 다양한 규제가 제도 활성화 취지와 맞지 않아 적자를 지속하는 만큼 새 정부에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다양한 규제, 실효성 없는 복합점포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보험 복합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KB·하나·농협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로, 각각 1개, 1개, 3개의 지점을 유지하고 있다.

보험 복합점포는 박근혜 정부인 2015년 금융위원회가 금융도 원스톱으로 쇼핑이 가능해야 한다는 취지로 금융지주사가 보험을 판매할 수 있도록 시행한 제도다.

금융지주사들은 최대 5개씩 복합점포를 운영할 수 있지만, 현재 KB 계열사만 3개를 운영하고 있다.

신한라이프는 제도가 시행된 지 4년 만인 2019년 모든 점포 운영을 중단했다.

보험사들이 최대 3개씩 점포를 운영할 수 있지만, 1개만 운영하거나 중단한 이유는 운영에 따른 실효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보험을 은행, 증권과 함께 한 점포에서 판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든 금융 업무를 해결할 수 있어 소비자와 보험사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당 제도는 2015년 시행 당시부터 활성화될 수 없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우선 고객이 보험상품을 고객에게 먼저 제안하는 일명 ‘아웃바운드’ 영업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보험은 소비자가 먼저 방문해 찾는 은행 예·적금 상품과 달리 설계사가 고객을 직접 찾아가 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니즈를 높여야 하는 상품이다.

문제는 복합점포에서는 은행, 증권 업무를 위해 방문한 고객에게 먼저 다가갈 수 없다는 점이다. 같은 점포 내에 있더라도 옆 창구에 제안을 하거나 이동을 권유할 수 없다는 뜻이다.

여기에 은행, 증권과 별도의 출입문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도 복합점포 운영에서 보험의 비중을 줄이는 요소 중 하나다.

금융당국도 이 같은 문제를 인식, 규제 완화 조치로 운영 가능한 점포 수를 3개에서 5개로, 3개 업권 공동 운영만 가능하던 형태를 은행·보험, 증권·보험으로 분산 가능하도록 했지만 여전히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만 나온다.

◇ 적자 지속, 제도 폐지 요구

보험사들은 복합점포를 통한 고객 유입이 없어 매년 적자를 내고 있는 상태다.

예를 들면 한 보험사는 한 지점에서 매년 2000만원 이상, 또 다른 보험사는 매월 2500만원 이상의 적자를 내고 있다.

신한라이프를 제외한 3개 보험사가 운영하는 복합점포에서 매년 수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복합점포를 운영하는 보험사들은 새 정부에서는 이제 이 같은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금융당국의 눈치로 점포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적자가 결국 소액이지만, 소비자의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이전 정부에서 시행한 제도라도 폐지한다는 건 실수를 인정한다는 것이기에 섣불리 조치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신한라이프가 2019년 점포 운영을 중단할 당시 당국에서 어떠한 제재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점포 운영 보험사들이 사업을 중단해도 무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권이 두 번 바뀐 실패한 제도인 만큼, 불필요한 자금 누수를 막는다는 차원에서 조치를 취해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보험업계가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반복되는 ‘보험 복합점포’에 대해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보험업계가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반복되는 ‘보험 복합점포’에 대해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