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사와 '상생' ESG 실천 물꼬...업계 車보험 부담 확실 '이견'

손보업계와 정비업계가 지난 주 한자리에 모여 합의한 내용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7일 개최된 제2차 자동차보험정비협의회에서 매년 자동차 정비수가를 조정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을 두고 업계 안에서도 상반된 평가가 나오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일각에서는 손보업계가 이번 합의로 협력관계인 정비업계와 공생관계를 더욱 강화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실천에 성큼 다가섰다는 의견과 매년 정비업계와 정비수가를 조정하게 될 수 있는 만큼 추가적인 부담이 생겼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금융권 ‘화두’ ESG경영 실천 성큼

손보업계와 정비업계는 제2차 협의회를 개최하고 쟁점 중 하나인 자동차 정비수가(공임비) 협상을 연례화하는 내용을 운영규정에 포함하겠다고 잠정 합의했다. 개정 운영규정이 시행되면 양측은 협의를 통해 매년 10월 31일까지 정비수가 인상 혹은 동결을 결정해야 한다.

양측이 정비수가 협상을 연례화한 것을 두고 화두인 ESG경영의 물꼬를 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확대하고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을 마련하는 개념이다.

주요 생명보험·손해보험사는 ESG경영 선포식을 개최하고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화생명, 한화손보가 속한 한화그룹은 별도의 ESG 위원회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ESG의 한 축인 사회(Socal)의 개념 속에는 협력업체와의 공생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는데 이번 정비업계와의 합의가 큰 의미에서 ESG 실천이라는 것이다.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실제로 손보업계와 정비업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손보사는 자동차보험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정비소는 보험적용을 받는 차량의 정비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비소가 차주에게 지불보증을 받고 수리를 제공하면 손보사는 정비소에 정비서비스의 대가를 지급하는 식이다. 손보사는 정비소가 없으면 상품을 판매할 수 없고 정비소는 보험사가 없으면 고객을 받기 힘든 구조다.

한 손보업계 관계자는 “손보사와 자동차 정비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생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정비수가를 매년 협의하는 건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다. 다만 ESG 개념 속에는 협력업체와 공생, 사회적 책임에 관한 내용도 담겼다. 이런 측면에서 손보업계는 ESG 실천에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비수가 협의 연례화 '득보다 실' 커

일각에서는 자동차 정비수가 협의를 매년 하기로 한 합의가 손보업계와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비수가 인상되면 손해율 증가가 불가피해지는데, 손보사들은 보험료를 마음대로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손보업계 관계자는 “결국 정비업계가 원하는 수준의 정비수가가 계속해서 인상되면 손보업계는 떠안아야 할 부담이 커진다. 정비수가 인상에 대한 요구를 멈추지 않으면 보험료를 올려 손해율을 감소시켜야 한다”라면서 “자동차 보험료는 쉽게 올리기 어렵지만 결국은 올리지 않겠느냐”라고 설명했다.

또한 손보업계 관계자는 “정비업계 요구대로 정비수가가 인상되고 손보사가 보험료 인상 카드를 활용하면 피해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면서 “피해를 입는 건 보험소비자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협의회는 제2차 회의에서 합의한 사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무회의를 개최한다는 입장이다. 이 자리에서는 정비수가 인상률에 관해 논의한다.

손보업계는 정비수가 인상이 보험료 증가를 초래해 소비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정비업계는 물가·임금상승률을 고려한 인상률이 적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석범 기자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