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이흔 기자] 모빌리티 산업의 환경 변화에 맞춰 보험사가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를 보장할 상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최원 보험연구원 수석연구원은 5일 'KIRI 리포트'에 게재된 '모빌리티 생태계 변화와 보험산업'이라는 보고서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환경 변화는 기존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사회 시스템에 전방위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우선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의 비중은 감소하고 전기와 수소를 비롯한 대체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가 부상할 전망이다.

자율주행자동차, 로봇택시, 로봇셔틀, 드론 택시 등 자율주행 기술과 모빌리티 서비스간 융합의 결과물도 대중화하고,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휠 등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도 크게 성장할 것이다.

'소유'를 통한 모빌리티 이용에서 '공유'를 통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활용으로 개념이 확장된다.

스마트 기기, 사물인터넷(IoT)과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가 결합한 형태도 점차 출현하고 있다.

이런 모빌리티 환경 변화는 새로운 리스크를 낳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해 사고에 대한 배상책임 문제가 주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교통체제와 첨단기기의 융합한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로서의 모빌리티(MaaS: Mobility as a Service)의 확산으로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 사이버 리스크, IoT 관련 리스크를 보장할 필요성도 커졌다.

보고서는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특정하기 어려우며 리스크의 범위도 더욱 광범위해질 것"이라며 "예를 들어 공유 서비스는 소비자들이 보장을 원하는 시간 단위가 세분돼 있어 다양한 특약과 세분된 보장기간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보험상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