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이흔 기자] 명목금리는 바닥에서 벗어났지만, 물가를 반영한 실질금리는 13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는 분석이 금융권에서 나왔다.

무엇보다 투자나 소비 등 수요 부진에 의한 경제 활력 저하가 우려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월 중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 금리(한국은행이 집계한 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 기준)는 연 1.43%였다.

그러나 명목 금리(저축성 수신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2.20%)을 뺀 실질금리는 연 -0.77%로 분석됐다. 은행에 돈을 맡기면 물가 상승분만큼도 이자를 받지 못해 사실상 손해를 보게 된다는 얘기다.

저축성 수신금리는 실질금리를 구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명목금리 중 하나다. 실질금리는 올해 1월 연 -0.49%를 시작으로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면서 낙폭을 키우고 있다.

특히 8월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2.6%에 달해 실질금리가 2004년 8월 연 -1.14% 이후 최저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정희 KB증권 연구위원은 "지난달 실질금리는 2004년 8월 이후 최저인 연 -1.1%로 떨어졌을 것"이라며 "올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이 우세한 상황이어서 실질금리는 당분간 더 마이너스 행진을 거듭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실질금리가 2000년 이후 최장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올해 1∼7월에 이어 8월 역시 마이너스 실질금리가 확실시되는 데다 마이너스 행진이 더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KB증권 분석 결과 2000년 이후 저축성 수신금리가 소비자물가보다 3개월 이상 연속으로 낮았던 적은 2004년 7∼10월, 2009년 2∼4월, 2011년 2∼9월 등 3번이 있었고 이 가운데 2011년의 마이너스 실질금리 기간이 8개월로 가장 길었다.

실질금리를 구할 때 사용하는 명목금리로 다른 금리를 채택해도 큰 흐름은 비슷하다.

국고채 3년물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금리 역시 올해 1월 연 -0.357%에서 8월 연 -0.820%까지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했다.

이 방식으로도 그 전까지 실질금리가 3개월 이상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은 2004년 7∼10월, 2008년 12월∼2009년 3월, 2011년 3∼12월 등 3번뿐이었다.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추락하면 돈을 은행에 맡길 때 손해를 보게 돼 예금 증가율은 둔화하고 돈이 이동하면서 주식시장에는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간의 마이너스 실질금리는 우리 경제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문 연구위원은 "마이너스 실질금리가 장기화하면 기대 인플레이션 저하로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며 "이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능력도 약화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자세히지난 8월 31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모습. [연합뉴스=자료사진]

또 그는 "장기적으로 실물경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부각되면서 단기간 주식시장에 나타난 긍정적인 영향도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마이너스 실질금리는 경제 활력이 떨어진 데 따른 증상"이라며 "그러나기준금리를 올리는 식의 대증요법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명목금리인 저축성 수신(신규취급액 기준) 금리는 작년 8월에 연 1.31%로 사상 최저를 찍고서 다소 올라 올해 7월에는 연 1.48%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