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방영석기자] 보험협회 전무직에 금융당국 출신 낙하산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소문에 보험업계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세월호 사고로 촉발된 관피아 이슈가 잠잠해지자 협회에 무언의 압박을 행사, ‘꿀보직’인 협회 전무직에 퇴임 인사를 내려 보내 인사적체 문제를 해소하려 시도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부와 업계는 관피아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협회장에 관료 출신이 아닌 전문경영인을 앉히는 한편, ‘관’ 출신이 독점해온 부회장직을 폐지하면서 전무직을 신설했다.

새롭게 신설된 전무직은 보험협회 내부 인사에게 돌아갈 것으로 전망됐으나 전무직이 신설된지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뚜렷한 이유 없이 공석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보험업계 내부에서는 금융개혁을 강조하며 보험업계 자율성을 제고하겠다던 금융당국이 결국 제식구 챙기기에 급급해 물을 흐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보험업계에서는 협회 전무직 하마평에 금융당국 출신 인사들의 실명이 거론되자, 협회가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전무직을 관 출신 인사들에게 내줄 것이라는 전망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보험협회 노조 또한 금융당국 인사 개입 의혹을 규탄, 협회 자율 인사권 보장과 낙하산 인사 저지에 나서며 보험업계의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었다.

생보협회 노조는 28일 발표한 성명에서 “금융위 현직 과장을 생보협회 전무직에 내정한다는 낙하산 인사 소식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며 “금융당국은 부당한 외압을 중단하고 낙하산을 내려 보내려는 계획이 있다면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노조는 협회의 자율 인사권을 강조하며 보험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역할 수행만 잘하면 문제없다’는 주장에 대해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보험협회가 명확한 이유 없이 전무 선임을 미루는 이유는 결국 금융당국의 외압 때문이며 이로 인해 업무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협회가 자율적으로 인사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생보협회 노조는 “금융당국은 협회가 자율적으로 전무직도 적합한 인물을 선임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협회 경영진과 업계도 부당한 외압에 굴복하지 말고 자율경영권을 사수해 납득할 만한 인물을 전무로 선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험업계는 현 보험협회장을 지지하는 이유가 협회장의 ‘출신 성분’이 아니라 협회장 취임 이후 성취한 ‘성과’에 있다고 입을 모았다.

‘민’ 출신 협회장이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고 상생의 길을 모색한 결과가 ‘관’ 출신 협회장 당시보다 월등히 뛰어났을 뿐이란 설명이다.

실제로 민간 보험사 출신인 이수창 생보협회장과 장남식 손보협회장은 취임이후 수년간 묵혀온 보험사기특별법 제정에 공헌하는 등, 보험업계 숙원사업에서 뚜렷한 성과를 나타낸 바 있다.

보험업계가 협회의 전무 선임 연기를 불안하게 바라보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민간 협회가 금융당국의 외압에 굴복한다면 단순히 ‘관’ 출신이 전무가 되는 것을 넘어 ‘능력’이 아닌 ‘출신’이 향후 협회 경영진 선임을 결정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중요한 사실은 신임 전무의 출신이 아니라 보험업계를 대표할 수 있는 ‘일 잘하는 전무’를 ‘협회 스스로’ 선임할 수 있는지 여부일 것이다.

금융당국이 ‘외압’과 ‘전무 내정성’을 공식적으로 부인한 상황에서 협회 전무 선임을 둘러싼 업계의 의혹이 단지 ‘설’에 불과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