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손성은 기자] 생명‧손해보험협회 전무직에 금융위, 금감원 출신 인사들이 내정됐다는 ‘설’로 보험업계가 떠들썩하다.

현재 공석인 양 보험협회 전무 자리에 송재근 금융위 과장과 서경환 전 금감원 국장이 내려올 것이라는 설이 파다하다.

금융당국이 세월호 사고 이슈가 잠잠해지자 협회에 무언의 압박을 행사해 ‘꿀보직’인 협회 전무직에 기관 인사를 내려 보내려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공공연히 흘러다니고 있다.

세월호 사고로 인해 공직자의 재취업 기준이 강화되고 사회적 인식 악화로 퇴직 인사들의 관련 금융 기관 재취업 활동에 재동이 걸렸던 상황, 이슈가 가라앉자 금융당국이 인사적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제나 그러하듯 금융당국이 업계에 무언의 압력을 행사했다는 ‘설’ 역시 꼬리표처럼 따라붙고 있다.

물론 금융당국은 이 같은 내정설을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안팎에선 금감원의 압박으로 인해 양 협회가 결국 전무직을 관 출신 인사들에게 내줄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관출신 인사 내정설의 책임소재를 금융당국에서 찾는 것이 타당할까

보험업계 일각에선 다른 시각이 존재한다. 이번 내정설이 금융당국과 업계의 물 밑 ‘교감’으로 탄생한 것이라는 의견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생‧손보협회 회장이 민선 출신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과거 금융당국과의 관계에서 ‘을’ 역할이었던 ‘민’ 출신 회장들의 태생적 한계로 협회 역시 드러내진 못하고 있지만 ‘관’ 출신 인사들이 내려오길 바라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대외적 활동은 ‘민’ 출신 회장들이 처리하고, 금융당국과의 관계 설정 역할은 ‘관’ 출신 임원들이 맡길 바라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 역시 협회 전무로 금융위‧금감원 출신 인사들이 내려오길 바랐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는 것이 중론이다.

때문에 양 협회가 그간 내부승진을 골자로 하는 전무직 신설 작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특히 양 협회의 전무직 하마평에 올랐던 인물들이 기존 보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업계는 관 출신 인사들의 협회 진입을 마냥 부정적으로 바라봐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양 보험협회가 본질적으로 일종의 로비 기관이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할 ‘관’ 출신 인사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보험산업과 ‘관’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관 출신 인사들은 보험업계의 현실을 금융당국에 전달하는 큰 이점을 지니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업계 내부에서도 ‘관’ 출신 인사들의 협회 진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있다.

금융개혁을 부르짖으며 보험업계 자율성을 제고하겠다던 금융당국이 결국 제식구 챙기기에 급급해 물을 흐리고 있다는 비판이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