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40% 마땅한 방안 없어…공‧사적 연금 적극 활용해야

[보험매일=손성은 기자] 우리나라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10가구 중 4가구꼴로 노후준비 방법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 노후준비 준비 안 된 가구 38%
김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을 책임연구자로 한 연구진은 21일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안 연구' 제목의 연구보고서에서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전체 가구 중 노후준비 방법이 없는 가구는 평균 38.5%에 달했다.

노후준비 방법이 없는 가구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종사상 지위별로 차이가 컸다.

상용근로자와 자영업자는 그나마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이었다.

상용근로자 가구는 8.6%만 노후준비 방법이 없고, 91.4%는 노후준비 방법이 있다고 답했다. 자영업자도 73.1%는 노후준비 방법이 있지만, 26.9%가 노후준비 방법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절반 이상인 55.6%가 노후준비 방법이 없다고 했다. 기타(무직 등)도 마찬가지로 열악했다. 무려 59.2%가 노후준비 방법이 없다고 대답했다.

노후준비 방법이 있더라도 다양한 노후소득원을 준비하고 있진 못했다.

이를테면 10명 중 9명꼴로 노후준비 방법이 있다고 답해 가장 노후준비를 잘하는 상용근로자 가구도 77.6%가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을 주요 노후소득원으로 활용해 노후준비를 하고 있을 뿐이었다. 개인연금이나 예·적금, 주식·펀드·채권, 부동산 등 다른 노후소득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연금제도가 무르익지 않았는데다 몇 차례 제도개편으로 소득대체율이 낮아진 공적연금에만 노후를 전적으로 의지하다가는 충분한 노후소득보장을 기대할 수 없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우리나라는 은퇴 전 자녀를 부양하느라 자신의 노후준비를 하지 못한 고령자들이 은퇴 후에 취업전선에 다시 뛰어들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자영업으로 과도하게 내몰리는 추세"라며 "이들 고령층을 위한 고용 확대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근로자들을 상대로 근로 기간에 사전에 노후준비 교육을 하는 등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 다양한 노후소득 수단 활용해야
한편 앞서 노년기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려면 은퇴 전 소득의 70% 정도를 미리 확보해두는 게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공·사적연금을 포함한 다양한 노후소득 수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바 있다.

국민연금연구원 성혜영 부연구위원은 지난 11일 '노후생활을 위해 필요한 소득은 얼마이며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란 글을 통해 노준비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성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노후 필요 소득은 은퇴 이전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이나 소비를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이나 '소비대체율'이란 개념을 활용해 가늠하는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하는 34개 회원국의 명목 소득대체율은 평균 67.9%이다.

성 부연구위원은 이런 국내외 연구결과들에 비춰볼 때 평균 소득자를 기준으로 노년에 접어들기 전에 생애평균소득의 약 70%를 노후소득으로 확보하는 게 좋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으로 대표되는 공적연금 가입,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기초연금 가입, 사업장 근로자는 퇴직연금 가입을 통한 소득대체율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