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데스카페서 가짜 환자 모집…증빙 서류 조작해 3억원대 보험금 타내
가짜 환자를 시켜 조작한 서류를 보험사에 제출하게 해 수억원을 챙긴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경찰청 형사기동대는 보험사기방지법 위반 등 혐의로 20대 총책 등 조직원 13명과 위조사문서행사 혐의로 위장 환자 68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12명을 구속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조직은 지난해 9월부터 지난 5월까지 위장 환자를 섭외한 뒤 진단서, 진료비계산서 등 서류를 위조해 보험금을 청구한 혐의를 받는다.
수사 결과 조직원들은 불법 고수익 아르바이트 중개 플랫폼인 '하데스 카페'를 통해 위장 환자를 모집했다.
이어 누군가 접속하면 텔레그램 대화방으로 유인한 뒤 수령한 보험금의 40∼50%를 지급하겠다는 조건으로 포섭했다.
조직원들은 자신들이 확보한 진단서, 진료비 계산서에 위장 환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등 인적 사항을 넣는 방식으로 서류를 꾸몄다.
이를 다시 위장 환자에게 보냈고 보험사에 진료비를 청구하도록 했다.
이들은 병원에 여러 번 다녀온 것처럼 속여 한 번에 100만∼200만원을 보험사에 청구했다.
4∼5번을 청구해 보험사로부터 2천만원 이상의 진료비를 챙긴 위장 환자도 있었다.
이들이 부정 청구한 보험사는 13곳으로 빼돌린 보험금은 3억원대에 이른다.
위조에 이용된 병원은 부산, 수원, 경주 등 전국적으로 10곳이다.
총책은 위장 환자 역할을 한 공범 중 일부를 조직원으로 포섭해 관리책, 중간책, 모집책 등 역할을 부여하기도 했다.
해당 조직은 보험사가 환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이 비교적 소액이며, 보험 청구 시 제출된 서류의 위조 여부를 병원에 확인할 수 없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찰 관계자는 "이 범행은 필요 없는 보험금이 지급되면서 선량한 보험 가입자의 보험 수가가 올라가는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악성 보험사기 조직원, 위장 환자 중 해외 도피자나 출석 불응자들에 대해서는 추적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은 하데스 카페 등 불법적 구인 중개 플랫폼을 경계하고, 각종 보험 사기 행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