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6월 4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한국 철강업계는 전례 없는 수출 위축에 직면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한국 철강 수출에 치명적 타격을 줄 뿐 아니라, 제조업 전반과 무역수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對美 수출 13% 의존…車·조선 등 연쇄 파급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 중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 

미국은 한국 철강업계의 4대 수출국 중 하나다. 

대표적인 수출 품목은 열연강판, 냉연강판, 강관류 등이 포함되며, 자동차·조선·건설 자재에 폭넓게 활용되는 핵심 중간재다.

산업연구원 김성진 연구위원은 “철강재 가격 경쟁력이 이미 관세 25%로 훼손됐는데, 이번 50% 인상은 사실상 철수 선언과 같다”며 “현지 공장 없는 한국 기업에겐 대안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미국향 수출물량이 급감할 경우, 포스코·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 대기업뿐 아니라, 하청 공급망에 이르는 중소 협력업체까지 수익성 악화와 구조조정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GDP·무역수지도 연쇄 영향 가능성

관세 인상으로 대미 수출이 위축되면, 한국의 전반적인 경상수지에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철강은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한국 수출에서 핵심적인 산업군으로, 단가 자체는 낮아도 고부가가치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한은(한국은행)의 2024년 자료에 따르면, 철강 및 금속 제품은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약 5.2%를 차지한다. 

수출 감소가 장기화될 경우, 지방 경제(특히 포항, 광양, 당진 등 철강 중심 지역) 기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정부 “모든 외교 채널 동원”…WTO 제소도 검토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31일 긴급대응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전달하고, 외교·통상 채널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주한 미국대사관 및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의 실무 접촉을 시도 중이며, WTO 제소 여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회피를 위해 현지 생산 확대 또는 제3국 우회 전략도 논의되지만, 업계는 “단기간에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정부의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철강업계 “치명적…한미 FTA에도 어긋나”

포스코 관계자는 “이미 25% 관세 체계에서 수익성이 한계에 도달했는데, 이번 인상은 사실상 ‘수입 금지 조치’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대형 철강사 관계자는 “한미 FTA 체결국으로서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한편, 노동계와 시민단체는 정부에 보다 명확한 입장 표명과 피해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현대제철)
(사진=현대제철)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