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기 속 경쟁력·안전성 ‘동시 확보’ 기대

‘저물가·저금리·저성장’ 시대에서 ‘고물가·고금리·저성장’ 시대로 접어들면서 보험업계의 수심이 짙다. 성장 가능성이 한정된 가운데 외부 환경이 더욱 열악해졌기 때문이다.

지난 2019년 코로나19가 창궐한 이후 금리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며 서민들은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발맞춰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1월 1.25%에서 현재 3.25%로 1년 만에 2.00%포인트 급등했다.

통상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가계의 부담이 커지면 보험 신계약이 감소한다. 불어난 이자를 감당하느라 보험료를 낼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특히 손해보험보다 보험료가 높고 가입 기간이 긴 생명보험에서 신계약 감소 현상이 두드러진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3개 생명보험사의 신계약건수는 2019년 1769만31건, 2020년 1766만2048건, 2021년 1682만7086건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해약은 늘어나고 있다. 생보사 해약 환급금은 지난해 6월 3조원에서 8월 4조1000억원, 10월 6조원 등으로 증가했다.

이는 보험계약 유지에 부담을 느끼거나 급전이 필요한 가입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올해부터는 그간 보험사의 요청으로 미뤄온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도 시행된다.

IFRS17은 보험부채를 기존 원가에서 시가로 평가하는 게 골자다. 이런 자본 변동성 확대 등 위험 요인을 반영해 리스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제도가 K-ICS다.

IFRS17 적용 시 생보사 부담은 가중된다. 금리 변동 영향이 큰 저축성보험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성보험은 당장 보험사가 현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금리 인상기에는 가입자에게 내줘야 할 금액이 높아져 ‘이차역마진’ 리스크로 작용한다.

이차역마진이란 보험사가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금리가 보험사 자산운용 이익률보다 높아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손해보험사 역시 호실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형 손보사들은 올해 자동차보험료를 2%대 인하한 데다,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케어’ 폐기를 공식화하면서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손해율이 악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보험업계는 올해 저성장시장을 개척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저성장시장으로는 임베디드(Embedded)보험이 꼽힌다.

임베디드보험이란 비보험사가 제공하는 상품, 서비스 등에 보험상품 및 서비스를 내재한 사업모델이다. 예컨대 여행자보험, 휴대폰파손보험 등이 있다.

임베디드 상품은 보험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체에서 주목받고 있다. 다양한 상품군에 맞춰 취급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저출산·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며 요양사업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보험사가 요양사업에 뛰어들면 보험 가입 수요가 줄어들더라도 자사 요양 시설로의 고객 재유치를 통해 자금을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보험사 요양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요양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가 선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행법상 10인 이상 요양 시설은 소유자와 경영자가 동일해야 한다. 시설 임대 방식으로는 사업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초기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든다. 현재 요양산업에 진출한 보험사는 KB손해보험 한 곳으로, KB골든라이프케어를 보유하고 있다.

2023년은 경제 위기의 해다. 보험업계는 올해를 전화위복의 발판으로 삼아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