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보사연, 2020년 노인 실태조사…'자녀와 동거 희망' 비율 감소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인 가운데 노인이 홀로 또는 부부만 사는 '노인 단독가구' 비율이 80%에 육박했다. 노년기에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노인은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비율은 꾸준히 늘었는데 일하는 노인 10명 중 7명 이상은 생계비를 마련하는 게 주목적이었다.

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0년 노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 홀로 살거나 노인 부부만 생활하는 '노인 단독 가구' 비율은 78.2%로, 2008년(66.8%)보다 크게 늘었다.

복지부는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활동, 생활 환경, 가치관 등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관으로 지난해 3월∼11월 노인 1만97명을 설문한 내용이다.

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노인의 비율은 2017년 15.2%에서 지난해 12.8%로 더 감소했다.

이 비율은 첫 조사가 이뤄진 2008년에는 32.5%였지만 이후 27.6%, 19.1%, 15.2%, 12.8%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실제로 자녀와 함께 동거하는 비율 역시 2017년 23.7%에서 2020년 20.1%로 줄었다.

노인의 건강, 경제적 안정 등 자립적 요인을 고려해 단독 가구로 산다는 답변은 지난해 62.0%에 달했다.

다만, 노인 홀로 또는 부부끼리만 살 때 어려움이 없다는 답변은 40.9%로, 직전 조사(44.5%)보다는 다소 줄었다.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의 경우, 자녀의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기혼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은 정서적 외로움이나 돌봄 등 노인의 필요(48.0%)에 의한 경우가 많았지만, 미혼 자녀와 같이 사는 경우에는 '같이 사는 게 당연하다'는 규범적 이유(38.8%)나 자녀의 필요(34.0%)를 꼽은 비율이 높았다.

달라진 사회상을 반영하듯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도 조금씩 변했다.

주 1회 이상 자녀와 연락한다는 응답률은 2017년 81.0%에서 2020년 63.5%로 줄었으나, 친한 친구 또는 이웃과 연락한다는 비율은 64.2%에서 71.0%로 늘었다. 주 1회 이상 자녀와 왕래하는 비율은 16.9%에 그쳤다.

노인들의 학력 수준 향상도 뚜렷한 편이었다. 정규 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무학' 노인의 비율은 2018년 33.0%에서 2020년 10.6%로 줄어든 반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는 17.2%에서 34.3%로 늘었다.

노인의 경제 상태를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평균 개인 연간 소득은 약 1천558만원 정도였다.

2008년 조사의 700만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이다. 근로·사업 소득, 사적 연금소득 등이 크게 향상하며 노인의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노인의 소득 가운데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기초생활보장 급여 등이 차지하는 공적 이전소득 비율 2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자식이 주는 용돈 등의 사적 이전소득은 13.9%로 감소세를 보였다.

노인 가구의 27.1%는 부채를 갖고 있었는데 평균 규모가 1천892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 생활을 살펴보면 식비 관련 지출(46.6%) 부담이 가장 컸고 이어 주거관리비 관련 비용(22.3%), 보건 의료비(10.9%) 등이었다.

지난해 65에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36.9%로, 3명 중 1명 이상이었다. 65∼69세 연령대에서는 경제활동 참여율이 55.1%로 절반을 넘었다.

이들 가운데 농어업 종사자가 13.5%, 단순 노무직 종사자가 48.7% 등으로, 이들을 합치면 62.2%나 됐다.

일하는 노인의 73.9%는 현재 일하는 이유로 '생계비 마련'을 꼽았다.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79.9%)과 독거노인(78.2%)에게서 이러한 답변이 특히 많았다.

조사 대상자의 83.8%는 건강할 때 현재 집에서 계속 살기를 원했고, 절반이 넘는 56.5%는 거동이 불편해져도 재가 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사는 집에서 계속 머무르기를 희망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