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해도 불이익 없는 데다 관련 내용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아"

[보험매일=신영욱 기자] 지난해 5월 직원 수 1,000인 이상 기업의 50세 이상 비자발적 퇴직자에 대한 재취업(전직) 지원 서비스 제공이 의무화됐다. 이에 따라 몇몇 보험사에서는 관련 서비스의 제공 및 운영을 시작했으나, 업계 전체를 놓고 보면 제대로 활성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보험업계에서는 관련 사항 위반에 대한 불이익이 없다는 점이 이 같은 상황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사 재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 상황은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재취업(전직) 지원 서비스 의무화에 따라 관련 서비스 제공하고 있는 곳은 현대해상, 한화생명 등 일부 중·대형사다.

현대해상은 지난해 5월 이후부터 만 50세 이상 근로자 중 경영상 퇴직, 정년 등 비자발적 이직 근로자에게 관련 내용을 충분히 안내하고 희망자를 대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영상 사유에 의한 퇴직자에게는 수시로 재취업, 창업지원 등의 컨설팅을 제공 중으로 현재까지 총 26명의 인원이 참가했다. 또 2021년과 2022년 정년퇴직 예정자에게는 올해 2월부터 변화관리, 정부지원제도 등 진로설계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교육들은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DB손보의 경우 의무화가 되기 이전인 지난 2018년 11월부터 생애설계(은퇴설계) 과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부터는 취업알선(전직지원) 서비스를 새롭게 추가했다.

생애설계 과정은 1년에 1회, 취업알선 과정은 상시 운영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총 70여 명이 수강했다. 강의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전문 컨설팅 업체를 통해 운영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교육내용과 수강자들의 만족도 과정 설계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생명은 의무화 이후부터 만 50세 이상 비자발적 퇴직자(정년퇴직자)에 대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은 퇴직일 3개월 전부터 이루어지며 개인별 니즈를 반영해 외부 희망 프로그램 및 교육기관을 선택해 참여하는 식이다.

교보생명은 진로설계 등에 대한 지난해부터 재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 지난해 9월 28일부터 12월 24일까지 외부 운영업체를 통한 온라인 교육을 실시해 112명이 참가했다. 교육시간은 16시간으로 구성했다. 현재 연 1회 운영을 계획하고 있으나 향후 대상 인원수 등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또 농협생명은 퇴직예정자 전직지원 과정, 은퇴설계 과정, 귀농 탐색과정 등을 운영한다. 해당 과정들에서는 창업아이템 발굴, 재무설계, 자산관리, 귀농을 위한 작목선택 및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이 진행된다.

이밖에 삼성생명의 경우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 외에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진행을 하고 있기는 한데 어떤 것들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내부 인사 제도 관련 내용이기 때문에 외부로 공개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보험사 재취업 지원 서비스 활성화 더딘 이유는

보험업계 관계자들은 의무화 대상에 포함된 보험사 중에서도 재취업 지원 서비스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곳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법률상 의무사항이 되기는 했으나 강행규정이 아니다 보니 미실시에 대한 불이익이 없다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이렇다 보니 단순히 보여주기 식으로만 진행하는 것도 불가능한 얘기만 아니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의무화가 됐긴 하나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손해나 부담이 없다 보니 아예 지키지 않거나 형식적인 진행만 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재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의 개념 자체를 모르는 이들이 태반이라는 점도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의무화가 된 지 1년도 되지 않은 데다, 1,000인 이상이라는 기준까지 있다 보니 내용 전파가 특히 더딘 상황인 것이다.

대형 보험사 노조 관계자는 “그런 서비스 제공에 대한 내용이 있는지 조차 몰랐다”며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잘못된 것은 없는지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재취업 교육 관계자는 “재취업 지원 서비스의 참여자는 5060세대가 중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보 습득이 느린 경우가 많다”며 “관련 내용이 있는 것조차 모르다 보니 필요사항에 대한 요구는 물론 활성화도 느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의무적으로 나서서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기업들이 나서 직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