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硏, 고령층·장애인 정보격차 사회적 문제…금융거래 시 취약점 보여

[보험매일=임성민 기자] 디지털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용하는 능력이 갈수록 중요해지면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고령층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정보격차는 이들이 정보통신기술 발전의 편익을 얻을 기회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 고령층의 디지털정보 현황 ‘취약’

26일 보험연구원 오승연 연구위원과 김혜란 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중·고령층 보험·금융소비자의 정보격차 실태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디지털정보를 이용하는 능력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가운데 고령층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가 사회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교육, 소득 수준, 성별, 지역 혹은 연령 등의 차이로 인해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차이가 나게 될 경우 사회경제적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63% 수준에 불과하며, 다른 취약계층과 비교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실제로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장애인 74.6%, 저소득층 86.8%, 농어민 69.8%와 비교해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정보 활용 측면에서 고령층은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이 많은 편이나, 금융거래 등에서는 상당히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중·고령층은 대면채널 의존도가 높아 보험 가입 시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저렴한 인터넷 채널의 혜택을 보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중·고령층 중에서도 고연령일수록 구매절차의 복잡성과 인터넷 사용 미숙이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주된 요인으로 손꼽힌다.

이는 향후 보험산업에서 핀테크를 비롯한 정보통신 기술의 도입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정보격차로 인한 고령층의 보험시장 접근성이 낮아져 금융소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고령층 맞춤형 대안 마련 시급

오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보험 가입이 증가하고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가 보험 수요 계층으로 등장하면서, 고령층의 정보격차는 보험소비자 보호의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고령자의 경제활동 필요성이 증가하고, 고령 인구가 주요한 소비활동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고령층은 젊은 연령층에 비해 새로운 지식의 습득이 쉽지 않으므로 정보통신기술 활용의 기대편익을 증가시킬 제도가 필요하며, 역량과 활용 측면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에 방점을 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고령층의 정보이용 능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다양한 교육과정 및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고, 정부는 주민센터나 복지시설 등 노인이나 취약계층이 쉽게 접근 가능한 공간에서 정보화 교육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 연구위원은 현금 및 대면거래 의존도가 높은 고령층의 경우 정보격차로 금융거래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령층의 이용편의를 증대시키는 다양한 방안도 모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경우 정보화교육 학습 능력이 다소 떨어져 여러 차례의 반복교육이 필요하거나 보행이 불편한 경우가 많아 방문 교육 등 다양한 교육 제공 방식이 필요하다”며 “고령층에 대한 수수료 감면 혹은 고령층 전용 창구 설치 등을 고려해 이용편의를 증대시키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