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관피아 망령에 후임 인선은 함흥차사…업무 공백 장기화 우려

[보험매일=방영석 기자] 금융기관 퇴임자의 재취업 창구라는 비판을 받았던 보험연수원장 자리가 낙하산 인사 논란으로 두 달이 넘게 신임 원장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퇴임 관료들이 공직윤리법 사각 직책인 보험연수원장 직책에 몰리면서 관피아 논란을 우려한 보험연수원이 섣불리 후임자를 내정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보험연수원장의 공백이 길어지면서 보험업계에서는 사령탑을 잃은 보험연수원이 업무에 차질을 빚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낙하산 인사 직격탄…사라진 보험연수원장
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진영 연수원장이 퇴임한지 두 달이 넘었음에도 보험연수원이 좀처럼 후임자를 내정하지 못하고 있다.

6월 말 최진영 연수원장이 물러날 때까지 신임 연수원장을 결정하지 못했던 보험연수원은 현재 김기성 부원장이 연수원장 업무를 대행해 처리하고 있는 상태다.

보험업계는 원장직책을 희망하는 관료 출신 인사들이 몰리면서 보험연수원장 선임이 이처럼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퇴직한 관료들은 공직자의 재취업을 3년간 제한하는 공직윤리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퇴직 이후 즉시 민간 기업으로 재취업 할 수 없다.

그러나 보험연수원의 경우 이 같은 공직윤리법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퇴직 관료들의 입장에선 경력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험산업의 교육을 총괄하는 ‘명예’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3년간의 임기가 종료되면 합법적으로 고액연봉을 보장받는 사기업에 입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험연수원은 통상적으로 보험업 관련 부서 금융감독원 출신 퇴직자나 생명‧손해보험협회 출신 인사들이 직책을 독식해왔다.

금융위원회 퇴직인사의 경우 보험연수원장 대비 연봉이 높은 은행권이나 공기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았고, 기재부 등 타 정부부서 역시 보험연수원 취업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퇴직 관료들의 ‘관행’은 관피아와 낙하산 인사 논란이 사회 이슈로 떠오르면서 급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퇴직 이후 재취업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주로 금감원 퇴직자들이 역임하던 보험연수원장직에 금융위 퇴직자 뿐 아니라 타 정부부서 출신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는 것이다.

◇ 보험연수원 ‘경력 세탁소’ 오명 벗어날까
보험연수원장 인선 작업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보험업계는 ‘비 보험 출신 연수원장’의 탄생을 우려하고 있다.

감독기관 출신 퇴직자 내정으로 촉발될 낙하산 인사 비판을 피하고자 자칫 ‘보험을 모르는’ 보험 연수원장이 보험 산업 교육을 총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연수원장직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보험연수원 업무에서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태다.

실제로 관피아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2015년 부임했던 최진영 전임 연수원장은 금감원 보험담당 퇴직자가 부임하던 전례와 달리 보험 관련 경력이 전무했다.

회계전문가인 최 전 연수원장의 취임을 놓고 당시에도 보험업계 일각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연수원 입장에서도 신임 연수원장 결정은 고민거리가 됐을 것”이라며 “연수원장직을 희망하는 고위 퇴직 관료들이 다수 포진된 상황에서 누구를 선택하든 낙하산 인사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보험연수원 입장에선 보험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지니면서도 경력 세탁의 의혹에서 자유로운 인사를 내정하는 것이 최선이다”며 “이 같은 인사를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극히 어렵다는 것이 최대 문제다”고 덧 붙였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