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자‧저해지‧중도인출 기능 탑재가 한계…배타적사용권 획득 소식도 ‘감감’

[보험매일=방영석 기자] 보장성보험 판매량 확대에 나선 생명보험업계가 미래 수익을 견인할 획기적인 신상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다수 소비자가 이미 보험에 가입한 상황에서 생보사들이 새로운 위험을 보장하는 상품을 개발하기 보다는 기존 상품에 추가 기능을 탑재한 신상품을 연달아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꾸준히 늘어왔던 생보업계의 배타적사용권 획득 상품 또한 최근들어 급감하면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생보사들의 고민은 갈수록 깊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생보사 7월 신상품 ‘대동소이’
10일 생명보험업계에 따르면 급변하는 시장 환경 대응을 목표로 보장성보험 판매량 확대에 나선 생명보험사들이 기존 상품과 차별화된 신상품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다.

IFRS17 및 K-ICS 도입을 앞둔 생보업계는 보험료 납부 이후 보험료와 이자를 돌려줘야 하는 저축성보험을 대체한 보장성보험 주력 상품 선정이 절실한 상태다.

그러나 생보업계의 보장성보험 판매는 시작부터 실적 급감이란 장벽에 가로막혔다. 미래 수익 확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강한 국내 시장에서 ‘저축’ 개념으로 대규모 판매량을 기록했던 고액 저축성보험의 매출을 보장성보험이 채우지 못했던 것이다.

생보사들은 보험사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보장성보험 신규고객을 확대해야 함에도 순수 보장성보험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 자체가 부족한 딜레마에 시달렸던 셈이다.

생보업계는 이 같은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순수보장성 보험에 각종 기능을 접목하기 시작했다. 순수보장성 상품의 틀에서 보장내역 및 가입고객 범위를 넓혀 매출을 확대하려 한 것이다.

사망보장이 핵심인 생보사 종신보험들이 중도인출을 통해 소비자들의 생존보장 니즈를 충족시키거나 저해지환급형 설계로 저렴한 보험료가 책정된 상품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인수기준 완화 기조도 지속됐다. 손해율 악화 우려로 보험가입을 거절당했던 유병자와 고령층 고객이 새로운 잠재 소비자로 급부상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역설적으로 생보사들이 새로운 시장을 발굴하는데 성과를 내지 못한 원인이 됐다. 생보사들의 신상품이 기존 보장성보험 가입 고객 범주가 늘어나고 보장항목이 일부 확대되긴 했으나 해당 신상품들은 순수보장성 보험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같은 한계는 실제 생보사들의 실적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생보사들의 보장성보험 신상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됐음에도 해당 상품 판매로 인한 수익은 현재까지도 급감한 고액 저축성 보험 실적을 대신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태다.

◇ 싸늘하게 식은 배타적사용권 획득 경쟁
신상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생보업계의 고민은 하반기 잠잠해진 배타적사용권 획득 경쟁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배타적사용권은 ‘보험사의 특허권’으로 불리는 권리로서, 이를 획득할 시 지정 기간 동안 해당 상품을 독점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

지난해 보험업계는 IFRS17에 대비한 보장성 신상품 개발 노력에 힘입어 생·손보를 합쳐 33개의 배타적사용권 획득에 성공, 제도 도입 이후 최고 수준의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올해는 대다수 보험사들이 신상품 개발로 위험을 감수하기 보다는 기존 상품 손해율 관리에 주력하면서 7월까지 불과 3개의 생보사만이 배타적사용권을 인정받은 상태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최근 출시된 신상품들은 초기 종신보험과 달리 완전히 새로운 위험을 보장하는 상품이 아니다”며 “외환위기 당시 엄청난 잠재 고객 확보를 이끌었던 종신보험과 같이 지금까지 생보사들이 인지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을 활성화할 상품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