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리스크·이자 부담 커져…발행 빈도 높아질 듯

 

[보험매일=임성민 기자] 생명보험사들이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단기간 내 자본 확충을 통해 안정적으로 재무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고금리 이자를 담보한 빚이기 때문에 향후 경영난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금융당국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대한 규제도 완화하면서 IFRS17에 대비하기 위한 생보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 빈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신종자본증권, 당장은 좋지만 리스크로 돌아와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교보생명을 시작으로 생명보험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잇따르고 있다.

현재까지 해외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예고한 생보사는 한화생명과 KDB생명으로 각각 10억달러, 4억달러 규모를 발행한다고 밝혔으며, 작년 교보생명과 흥국생명이 각각 5억달러 규모 발행에 성공했다.

한화생명과 KDB생명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2021년 도입되는 IFRS(국제회계기준)17과 K-ICS(신지급여력제도)를 앞두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IFRS17은 부채의 시가평가를 골자로 하는 것으로, 국내 적용 시 과거 생보사들이 판매한 고금리 저축성보험이 역마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대형사와 중·소형 생보사를 막론하고 자본 확충을 위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작년에 이어 올해도 잇따르는 생보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두고 적지 않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의 경우 만기가 매우 길고, 채권처럼 매년 일정한 이자나 배당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종자본증권 발행 규모가 커질수록 부담해야 하는 이자비용 또한 늘어나는데, IFRS17과 K-ICS도입 이후 원금과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여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KDB생명의 현재 경영정상화를 위해 힘을 쏟고 있지만 그간 지속돼 온 적자로 인해 이번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따른 향후 원금과 이자 부담은 적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즉 단기간 자본 확충을 위해 무리하게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경우 만기 시 부채로 인해 재무건전성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뜻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작년 교보생명을 시작으로 흥국생명도 각각 5억 달러 규모의 신장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했다”면서 “IFRS17과 K-ICS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자본 확충에 나선 것은 모든 보험사들이 마찬가지겠지만 향후 금리 리스크와 갚아야 할 빚이란 것을 염두하고 발행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규제 완화, 신종자본증권 발행 늘린다
생보업계의 이 같은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IFRS17과 K-ICS가 보험업계에 도입되기 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이 작년 8월 IFRS17에 대응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유지를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기준 유지를 위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수 있는 근거를 폭넓게 인정하는 등의 ‘보험업감독규정 및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안을 의결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위원회가 2021년 새로운 보험 국제회계기준인 IFRS17 등에 대비해 보험사가 필요한 자본을 선제적으로 확충할 수 있게 신종자본증권 발행 규제를 완화했다”면서 “발행 규제가 완화되면서 보험사들이 자본 확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커졌지만 그만큼 부채에 대한 리스크도 커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