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硏 "논란 소지 없도록 지급 근거조항 마련해야"

[보험매일=이흔 기자] 존엄사는 자살일까 아닐까. 얼핏 보면 부질없는 질문일 수 있지만 보험과 관련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존엄사에 대한 판단에 따라 보험금 지급 여부가 갈리기 때문이다.

오승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5일 'KIRI 리포트'에 게재된 '연명의료결정법 시행과 보험금 지급기준 관련 논란' 보고서에서 존엄사를 둘러싼 보험금 지급 논란을 다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대신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연명의료결정법'(일명 웰다잉법)이 내년 2월부터 발효된다.

본인이 건강할 때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거나 말기 또는 임종기 환자가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연명의료계획서'를 제출하면 존엄사를 선택할 수 있다.

보고서는 연명 의료 중단에 의한 사망의 경우 사망 과정에 본인의 의도가 반영돼 자살과 다른 우연한 사망사고로 볼 것인가를 둘러싼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살과 같은 보험가입자의 고의적인 사망은 보험금 지급의 면책사유로 인정되기 때문이다.

논란의 핵심은 존엄사의 사망 원인을 연명 의료 중단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임종과정에 있는 말기상태에 이르게 한 사고'로 볼 것인지 하는 점이다.

보고서는 존엄사 법제화 취지에 비췄을 때 '임종과정에 있는 말기상태에 이르게 한 사고'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논란의 소지가 없게 하려면 연명 의료 중단에 의한 사망에도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근거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명 의료 중단에 의한 사망을 자살이 아닌 것으로 규정할 것인지, 자살이기는 하지만 보험금 지급 면책 조항의 예외로 인정할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연명 의료 중단으로 인한 사망을 '환자를 임종과정에 있는 말기상태에 이르게 한 사고'의 성격에 따라 평가하도록 표준보험약관을 개정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