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이흔 기자] 우리나라에서 노인가구 증가가 가계 소비성향 둔화의 결정적 요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박기백 서울시립대 교수는 22일 한국경제학회가 발간한 '경제학연구'에 게재한 '소비성향 변화의 분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2006년과 2014년 자료를 이용해 소득분배, 가구주 연령, 가구원 수, 가구 형태 등의 구조적 변화가 가계 소비성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2006년 63.83%에서 2014년 59.76%로 4.07% 포인트(p) 낮아졌다.

이 기간 60세 이상의 가구원으로 구성된 노인가구 비중은 6.20%p 확대됐고 이런 가구 형태의 변화가 전체 소비성향을 3.15%p 떨어뜨린 것으로 추산됐다.

어머니가 혼자 아이를 키우는 '모자가구'나 맞벌이가구의 변화는 소비성향에 미친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고령화로 일반가구가 줄고 노인가구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은 전체 소비성향 하락의 77.4%를 설명한다"며 "고령화로 일반가구가 노인가구로 전환되면서 소비성향이 하락하는 현상은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소비성향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인구구조를 바꿔 노인가구 비중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3.2%다.

고령인구 비율은 앞으로 저출산 등으로 2030년 24.5%, 2040년 32.8%, 2060년 41.0%로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통 고령층은 소득 감소 등으로 30∼50대 때보다 '씀씀이'를 줄이게 된다.
고령화가 소비를 제약한 대표적인 국가는 1990년대 침체기를 경험한 일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일본에서 60세 이상 노인의 지출 규모가 40∼50대보다 작아 전체 소비성향이 떨어졌다며 고령층 증가를 소비 둔화의 요인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논문에서 소득분배, 가구주의 연령, 가구원 수 등의 변화는 가계의 소비성향 하락에 주요 변수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사회보험료를 포함한 세금과 공적이전소득도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에 준 영향이 불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소비성향 하락을 품목별로 보면 정부와 관련된 부문이 54.21%로 절반을 넘었다.

공교육, 복지(보육) 등 정부 지출이 가계 지출을 대체할 수 있는 항목이 24.0%이고 통신서비스, 담배 등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항목이 30.21%로 나타났다.

또 외식, 식료품 등 음식과 관련된 지출이 소비성향 하락의 36.78%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논문은 "미래에 대한 불안이 지속하면 외식처럼 손쉬운 상품부터 소비 감축이 어느 정도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