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대상자 많지 않은 협회는 타격 ‘크지 않아’

[보험매일=방영석기자] 보험업계가 내년부터 적용되는 정년연장에 따른 인사적체 문제 해결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정년이 연장되면서 부장급 인력의 퇴직이 지속적으로 미뤄질 경우 해당 인력을 배치할 마땅한 보직을 찾기 어려워질 것이며, 이는 신규 직원 채용과 기존 직원 승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보험협회 등 유관기관의 경우 정년연장 대상자가 많지 않고 설계사 등록시험 관련 업무 등 퇴직을 앞둔 인력을 활용할 업무 또한 충분해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연장 대상자 처우‧업무배치 밑그림 찾기 ‘한창’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정년이 55세에서 60세로 5년 연장되면서 연장 대상자의 처우와 업무배치 문제로 보험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년을 맞는 부장급 인력들의 퇴직이 5년 미뤄지면서 내부 직원들의 승진이 지연될 뿐 아니라 정년이 연장된 대상자들을 퇴직까지 활용할 마땅한 업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년연장 대상자가 상대적으로 고위직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인건비 부담 증가가 명확한 상황에서 보험사들은 ‘임금피크제’ 등 노사 간 협의를 통한 임금체계 개편을 준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실제로 보험업계는 국회에서 정년연장법이 통과된 이후 대다수 보험사가 임금단체협상에서 임금피크제 도입을 합의했을 뿐 아니라, 희망퇴직 등을 통한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한 상황이다.

현대라이프생명과 메리츠화재 등은 희망퇴직 등을 통해 인력 조정에 나섰으며 삼성생명은 50여명 규모의 희망자를 대상으로 최장 3년까지 휴직 지원 프로그램을 운용한 바 있다.

특히 업체별로 마련한 저성과자 교육프로그램이나 휴직·전직 지원프로그램을 두고도 사실상 인력조정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흘러나왔던 상황이다.

KB손보의 경우 저성과자 직원 20여명을 상대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중, 직원 2명이 퇴직을 하면서 논란에 시달렸으며, 알리안츠생명 또한 최근 ‘직원역량향상 프로그램’ 운용 계획을 밝히자 노조로부터 ‘퇴직 압박을 위한 찍어내기’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내년부터 퇴직자들의 정년이 5년 연장되면서 자리를 급여 등 이들에 대한 처우 및 업무 배치를 놓고 보험사들의 고민이 많을 것”이라며 “임금피크제 등을 통해 급여를 조정하고 정년 대상자가 직책을 반환하고 부서 지원 업무를 맡을 가능성이 높지만 대체 직무가 마땅히 정해지지 않아 노사 간 갈등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 보험협회 정년연장 영향력 ‘최소화’
반면 직원 규모가 보험사 대비 적은 생명․손해보험 협회 등 유관기관은 정년연장에 따른 인사적체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보험협회의 경우 임금피크제도 적용에 대한 노사 합의가 이뤄진 상태일 뿐 아니라 정년 연장 대상자를 활용할 대체 업무도 충분해 보험사 대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직원들이 돌아가며 담당했던 설계사 등록시험 관련 업무 등에 이들을 대체 투입할 경우 업무 중복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 협회의 업무 역량 또한 향상될 것이란 분석이다.

보험협회 관계자는 “협회 직원 규모가 100여명 정도에 머무르고 있어 실제 정년연장 대상자는 매년 1~2명 정도에 불과하다”며 “정년 연장으로 인해 활용할 인력이 늘어날 경우 협회의 업무 처리 역량 향상 또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