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④]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 그 빛과 그림자

금융규제 개혁에 따라 보험사의 상품 개발 자율성이 대폭 확대됐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그간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상품이 출시되거나, 새로운 보장 내용을 담은 업그레이드 상품이 출시된 상황. 그러나 일각에선 금융규제 개혁에 따라 상품 개발 자율성이 이전보다 더욱 확대됐지만 보험사들이 이를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로드맵 발표 이후 출시된 상품을 살펴보고 향후 트렌드를 전망해본다. <편집자 주>

[보험매일=손성은 기자] 금융당국 규제 완화와 보장성 보험의 자유로운 보험료 산정을 가로막고 있던 표준이율 제도가 폐지된 4월이 지난 현재 보험사의 신상품이 물 밀 듯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존 상품의 형태를 답습한 상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시장 안팎에선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를 반영한 상품 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고령화 현상 가속, 잠재 니즈 파악해야
대한민국이 빠르게 고령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보험사들이 이를 반영한 특화 상품을 출시해야 상품 경쟁력 및 시장 점유율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이 지난 2014년 12.7%로 이미 고령 사회로 진입해있으나 오는 2017년께에는 고령자 비율이 14.3%에 도달, 9년 뒤인 2026년에는 20.8%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2016년 현재 고령화 비율은 13.1%이며 2060년에는 65세 이상 고령군과 0~49세 연령군의 비율이 1 대 1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고령화 현상에 따른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와 더불어 환경적 요인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기대 수명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노인 빈곤율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국민들의 기대 수명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경제 활동 기간은 늘어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아 서민들의 노후 자금 준비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때문에 소비자들의 노후 준비에 대한 니즈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보험업계 안팎에선 소비자들의 잠재적 니즈를 반영한 특화 상품 개발이 향후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경쟁력 강화 로드맵 이후 출시된 상품들을 살펴보면 이전 출시 상품들과의 차별화에 성공한 상품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현대 대다수의 보험사들은 당장의 수익 창출을 위해 일차적 니즈만 반영한 상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고령층 또는 고연령 진입을 앞두고 있는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도 노후 준비를 컨셉으로 하는 상품들이 출시돼 있지만, 큰 틀로 볼 때 연금‧저축 상품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서민 고객 가입 문턱부터 낮춰야
특히 현재 대부분의 노후 준비 상품이 사실상 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인 만큼, 서민들의 가입 문턱을 낮춘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원금 손해를 보면서까지 기존 계약을 중도 해지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보험료가 높은 노후 준비 상품 가입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때문에 고객 생애 주기를 세분화하고 적정한 보험료를 책정한 ‘서민 특화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보험사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후 준비를 위한 보장성 상품의 경우 기본적으로 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라는 인식이 있다”면서 “사회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이에 따른 부작용은 결국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서민들의 몫인 만큼, 이를 반영한 특화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