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임근식 기자] 바야흐로 보험업계에 민간출신 협회장 시대가 열렸다. 지난 8월 손해보험협회장에 장남식 LIG손해보험사장이 선임되며 12년만에 이른바 ‘관피아’에서 ‘해방’됐다.

이어 생명보험협회장에 이수창 전 삼성생명 사장이 사실상 내정되며 보험권을 대표하는 양 협회장이 민간출신으로 구성되며 민간인 시대의 새 장을 열었다.

차기 생보협회장의 민간출신 협회장 탄생의 ‘예고편’은 협회장 후보군에 전현직 생보사 CEO출신 인사들로 압축되면서 부터였다. 그러나 막판에 어떤 변수가 작용할지 몰라 기정사실화하기를 주저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보험관련 협회장 자리는 관료출신이나 금감원출신의 전유물이었다. 때론 퇴임관료의 ‘자리 만들어주기’의 희생양으로 전락하며 ‘퇴임 관료의 탈출구’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낙하산 인사에 대한 조직적인 반발도 드세지 않아 ‘만만한 자리’로 여겨졌다.

최근 차기 생보협회장을 두고 협회의 성격이 대정부 로비를 통한 보험사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측면에서 ‘힘있는 기관’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 협회장 자리에 오기를 내심 바라는 내부기류도 일부에서 감지되기도 했다. 아직 관료주의에 젖은 ‘때’가 ‘세탁’이 덜된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양 협회 모두 민간출신 협회장을 선호하는 분위기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였다. 보험협회 관계자의 말이다. “지금껏 관료출신이 협회장직을 맡았어도 특별히 달라진 것 없다. 민간 출신이라도 금융권에서 수십년 잔뼈가 굵은 인물이라면 업계를 충분히 대변할 수 있다”. 협회의 입장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물론 관피아가 아닌 민간출신 협회장 선임으로의 분위기 반전을 주도한 건 내부적 요인보다 외부적 요인이 작동한 게 사실이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관피아 논란 일었고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민간출신 협회장 선임은 당연한 수순으로 여겨진다.

시류에 편승한 결과물이라 할지라도 양 협회는 향후 지속적으로 민간출신 협회장을 배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협회가 보험사 이익을 대변하는 창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면 또 다시 ‘외풍’에 시달릴 수 있다. 온전히 ‘내 밥그릇은 내가 지킬 수 있는’ 자생력을 확보했을 때 진정 관피아 시대와 종언을 고(告)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