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매일=주가영 기자] 가입연령이 확대된 노후실손의료보험이 출시됐지만 업계도 소비자도 반응은 시큰둥하다.

여태까지 보험가입이 어려웠던 고령자를 대상으로 그것도 저렴한 보험료에 질병이나 상해를 보장해주는 유익한 상품인데 대체 왜 환영받지 못하는 걸까.

현재 손보사 7곳과 생보사 1곳이 노후실손보험을 판매하고 있으나 가장 많이 판매한 보험사의 가입건수는 고작 200여건에 불과하다.

올해 8월부터 판매되고 있는 노후실손보험은 기존 65세까지였던 가입연령을 75세까지 확대한 상품이다.

하지만 가입연령이 늘어나면서 보험사들의 부담이 커진 것도 사실이다.

아무래도 연령이 높을수록 발병률은 높아지고 보험사들은 아직 고령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부족으로 얼마나 큰 리스크를 불러올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수익률이나 리스크 걱정으로 보험사가 소극적인 판매를 한다고 해도 노후실손보험의 실적은 너무 터무니없다.

앞서 65세 노후실손보험이나 단독실손보험을 판매해 왔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각인되지 않은 까닭이다.

단독실손보험만 해도 판매된 지 1년이 훌쩍 넘었지만 업계 전체 월평균 판매건수는 2만건 정도 밖에 안 된다.

소비자를 위한 정책성 보험들은 이렇듯 당국의 채찍질에 내놓기만 하고 팔리지는 않는 비슷한 수순을 밟고 있다.

이는 단순히 보험사가 문제라고는 볼 수 없다. 좋은 상품이라면 굳이 알리지 않아도 소비자들이 찾아서 가입하게 된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의 판매 등한시만 꼬집고 있으며, 보험사들은 당국의 탁상행정이라고 불평하고 있다.

만일 보험사의 적극적이지 못한 영업 행태 때문이라면 금융당국은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대안을 내놓아야 하고, 적은 판매수수료와 보험료가 문제라면 업계와의 협의를 통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와 수수료 제도 변경도 고려해야 한다.

또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완전판매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무리 취지가 좋다고 해도 보험사가 무너진다면 다 소용없는 일이다. 이대로 생색내기로 그치고 애물단지로 둘 것이 아니라면 당국은 소비자를 위해서라도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보험업계 역시 100세 시대 동반자라고 말만 앞세울게 아니라 고령화 사회에서의 사회적 책임감을 높였으면 한다.


 

저작권자 © 보험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